
지난 한주 걸그룹 르세라핌의 일본데뷔 성과가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Last week, girl group LeCeraPim's debut in Japan drew keen attention. 지난달 25일 일본 데뷔싱글 ‘Fearless (Japanese ver.)’을 발매한 르세라핌은 29일 마감된 초동에서 22만2286장을 판매, 오리콘 위클리차트 1위를 차지했다.LeCeraPim, which released its Japanese debut single "Fearless (Japanes ver.)" on the 25th of last month, sold 222,286 copies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which ended on the 29th, ranking first on the Oricon Weekly Chart. 해당수치는 아이즈원의 ‘좋아한다고 말하게 하고 싶어’가 지키고 있던 K팝 걸그룹 일본 데뷔싱글 초동 최고기록을 4년 만에 경신한 결과다.The figure is the result of breaking the initial record of the K-pop girl group's debut single in Japan, which IZ*ONE's "I want to make you say I like you," for the first time in four years. 해외 여성아티스트가 일본 데뷔싱글로 오리콘 위클리차트 1위를 차지한 것도 트와이스의 ‘One More Time’ 이래 5년3개월만의 일이다.It is also the first time in five years and three months that an overseas female artist has topped the Oricon weekly chart with her debut single in Japan since TWICE's One More Time.
이 같은 성과가 중요하게 받아들여지는 이유가 있다.There is a reason why such achievements are considered important. 아이즈원 이후 4세대로 분류되는 수많은 K팝 걸그룹들이 일본시장에 상륙했지만 그간 데뷔단계에서 초동 20만 장은커녕 10만 장을 넘겨본 팀조차 없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numerous K-pop girl groups, classified as the fourth generation after IZ*ONE, have landed in the Japanese market, but no team has even exceeded 100,000 copies, let alone 200,000 copies in the initial stage of their debut. 그렇게 이번 르세라핌 성과는 2010년 카라와 소녀시대의 일본데뷔 이후 전체 K팝 걸그룹 일본데뷔 성적을 놓고 봐도 트와이스, 아이즈원과 함께 단 3팀뿐인 메인스트림 성과라 볼 수 있다.As such, the LeCeraFim achievement is the mainstream achievement of only three teams along with TWICE and IZ*ONE in terms of the overall K-pop girl group's Japanese debut performance since Kara and Girls' Generation's Japanese debut in 2010.
상황을 더 살펴보면 좀 더 흥미로운 대목이 보인다.If you look more at the situation, you can see a more interesting line. 애플뮤직, 라인뮤직 등 일본 주요 음원플랫폼 성적을 종합해 내놓는 빌보드 재팬의 2022년 연간 음원 스트리밍&다운로드 차트에서 스트리밍 부문 100위 내 K팝은 총 6팀의 7곡이 들어가 있다.Billboard Japan's 2022 annual music streaming and download chart, which combines the results of major Japanese music platforms such as Apple Music and Line Music, contains seven songs from a total of six teams. 그중 5곡이 걸그룹 곡이다.Five of them are girl group songs. 트와이스 ‘The Feels’(38위), 케플러 ‘Wa Da Da’(41위), 아이브 ‘Eleven’(43위)과 ‘Love Dive’(50위), 르세라핌 ‘Fearless’(93위) 순이다.TWICE's "The Feelings" (38th), Kepler's "Wa Da Da" (41st), Ive's "Eleven" (43rd) and "Love Dive" (50th), and Lecerafim's "Fearless" (93rd). 한국과 동일하게 먼저 나온 음원 쪽이 높은 순위일 수밖에 없는 구조지만, 전반적 동향 정도는 알 수 있다.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music source that came out first like Korea is bound to be in a higher ranking, but the degree of overall trend can be seen.
그런데 음반판매 부문으로 넘어가면 상황이 달라진다.However, the situation will change once we move to the record sales department. 적어도 일본데뷔 시점만으로 보면 그렇다.At least when it comes to Japan's debut. 음원 부문에서 4세대 중 가장 높은 성적을 보인 케플러가 지난해 9월 내놓은 일본데뷔 싱글 ‘Fly-Up’은 초동 6만8316장이었고, 100위 내 2곡을 랭크시킨 아이브의 일본데뷔 싱글 ‘Eleven-Japanese ver.’은 초동 6만8229장을 기록했다.Kepler's Japanese debut single "Fly-Up" released in September last year, the highest among the fourth generation in the music category, recorded 68,316 copies in the first half, and Ive's Japanese debut single "Eleven-Japanese ver," which ranked two songs in the top 100. 모두 르세라핌의 3분의 1 이하다.All of them are less than one-third of leceraphim. 거기다 르세라핌은 초동집계 뒤인 2월3일 하루 동안만 2만6430장이 더 팔려나가는 등 이상열기를 이어가고 있다.In addition, Lecerafim continues its abnormal heat, with 26,430 more copies sold for one day alone on February 3, after the initial tally. 그 결과 빌보드 재팬 기준 불과 2주 만에 39만9280장을 판매, 역대 K팝 걸그룹의 일본 싱글음반 최고 판매기록을 4년 만에 경신하게 됐다.As a result, 399,280 copies were sold in just two weeks based on Billboard Japan, breaking the highest sales record of K-pop girl groups in Japan in four years. 결국 음원차트가 대변하는 대중적 트렌드로서의 음악소비 측면에선 4세대 걸그룹들 서로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는 정도 또는 오히려 케플러나 아이브가 조금 앞서간 추세지만, 피지컬 음반판매량이 보여주는 코어팬덤 규모에선 르세라핌이 압도적 우세란 얘기다.In the end, in terms of music consumption as a popular trend represented by the music charts, fourth-generation girl groups are ahead of each other, or Kepler and Ive are slightly ahead of each other, but LeCeraPim is overwhelmingly dominant in terms of the size of core fandom shown by physical record sales. 물론 음반 종수(種數)나 쇼케이스 등 프로모션 여부에 따라 변수가 생기는 것도 사실이다.Of course, it is true that variables arise depending on the number of records and whether or not promotions such as showcases are made. 그러나 이 정도까지 차이가 나버리면 그런 요소들이 주요원인이었다고 보기도 힘들다.However, if there is such a differenc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such factors were the main cause.
이에 해석은 많다.There are many interpretations for this. 대표적으로, 일본서 큰 인기를 누린 아이즈원 파생효과란 해석이 가장 널리 거론된다.Representatively, the interpretation of the IZ*ONE derivative effect, which has enjoyed great popularity in Japan, is most widely discussed. 아이즈원 인기멤버였던 미야와키 사쿠라와 김채원이 소속돼있어 기존 팬덤을 이어받은 결과란 것.This is the result of taking over the existing fandom because Miyawaki Sakura and Kim Chae-won, who were popular members of IZ*ONE, belong to the group. 그런데 당장 아이브에도 아이즈원 출신 안유진과 장원영이 소속돼있고, 그들 역시 한국뿐 아니라 일본서도 인기멤버였다.However, right now, Ahn Yoo-jin and Jang Won-young from IZ*ONE belong to IVE, and they were also popular members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Japan. 적어도 아이즈원 당시 이들의 개인 코어팬덤 규모는 이 정도 차이가 아니었다.At least, the size of their individual core fandom at the time of IZ*ONE was not this different.
그럼 뭘까.What is it, then? 결국 르세라핌과 다른 팀들의 운영방식 차이, 그중에서도 자체 콘텐츠 전략의 정도 차이가 핵심적이라 볼 수밖에 없다.In the end, the difference in the operating methods of Le Cerapim and other teams, especially the degree of their own content strategies, is key. 한국서도 자체 콘텐츠는 코어팬덤을 키우는 데 큰 역할을 하는 마케팅 툴이지만, 일본선 많은 점에서 그 이상이란 것이다.In Korea, its own content is a marketing tool that plays a big role in developing core fandom, but it is more than that in many respects on the Japanese line. 특히 팀 서사(敍事)와 멤버들 간 관계성에 몰입하는 정도가 어마어마하다.In particular, the degree of immer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m narrative and the members is enormous. 그렇게 ‘서사와 관계성의 끝판왕’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으로 해당프로그램이 일본서도 큰 화제를 모은 니쥬와 아이즈원 등은 일본데뷔 즉시 대단한 반향을 일으킬 수 있었다.Nizu and IZ*ONE, who were former audition programs for "The End of Narrative and Relationship" and the program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in Japan, were able to resonate immediately after their debut in Japan.
그런데 르세라핌은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은 아니어도 어마어마한 자체 콘텐츠 물량공세를 통해 그 정도, 혹은 그 이상의 서사와 관계성을 양산해내고 있다.However, LeCeraPim is mass-producing a relationship with a narrative to that extent or more through a huge amount of self-content, if not from an audition program. 오디션 프로그램에 준하는 팀 서사를 담은 자체 다큐멘터리 ‘The World is My Oyster’가 지난해 9월 극장판 다큐멘터리 분량으로 유튜브 업로드돼 대단한 반향을 일으켰고, 이후로도 다양한 콘셉트의 공들인 자체 콘텐츠가 계속 쏟아진다.The World is My Oyster, a self-documentary containing team narratives equivalent to the audition program, was uploaded to YouTube in September last year with a theatrical documentary, and since then, elaborate contents of various concepts have continued to pour out. 공식 유튜브 계정에 업로드된 자체 콘텐츠는 지난 한 달 동안만도 24편에 이른다.In the past month alone, 24 of its own content have been uploaded to its official YouTube account. 거의 매일 새 콘텐트가 올라온단 뜻이다.This means that new content is uploaded almost every day. 그리고 이는 tvN에서 제작하는 미야와키 사쿠라 개인 웹예능 ‘겁도 없꾸라’ 등 외부 콘텐츠를 제외한 수치다.And this figure excludes external content such as Miyawaki Sakura's personal web entertainment show "Fearless Sakura" produced by tvN. 멤버 김채원이 자체 영상에서 말한 “인생은 콘텐츠다”란 선언 그대로다.Member Kim Chae-won said in her own video, "Life is content."
좀 더 시각을 넓혀보자.Let's broaden our perspective. 한국대중음악산업 중심인 아이돌산업 수익모델 중 특히 걸그룹의 그것은 다소 구조가 까다롭다.Among the profit models of the idol industry, which is centered on the Korean pop music industry, the structure of girl groups in particular is somewhat tricky. 먼저 팀의 음악적 방향성과 퀄리티, 그를 구현하는 퍼포먼스 능력 등 엄밀한 음악활동 요소와 아이콘으로서 멤버들 개개인 매력을 통해 트렌드적 인기를 얻어 라이트팬층이 형성된다.First of all, as a strict musical activity element such as the team's musical direction, quality, and performance ability to embody it, it gained trendal popularity through the individual charms of the members, forming a light fan base. 음악을 스트리밍하고 무료 콘텐츠를 시청하는 이들이다.They stream music and watch free content. 자체 콘텐츠 등 전략은 이들 라이트팬층에게 팀에 대한 강한 친밀감과 애착을 심어 피지컬 음반 등 굿즈나 콘서트 티켓 등의 구매로 이끈다.Strategies such as their own contents instill strong intimacy and attachment to the team in these light fans, leading them to purchase goods such as physical albums and concert tickets. 실질수익을 내주는 ‘코어팬덤화’다.It is a "core fandom" that yields real profits.
다른 식으로 말하자면, 라이트팬층을 만드는 음악 활동과 문화아이콘으로서 상품적 매력이 전제된 상태여야만 코어팬덤 전략도 먹혀들어간단 얘기다.In other words, the core fandom strategy works only when musical activities and cultural icons that create a light fandom are premised on commercial appeal. 그런데 일본선 때때로 이 같은 흐름이 전도(顚倒)돼 후자만으로도 시장이 형성 가능한 분위기다.However, this trend is sometimes reversed on Japanese ships, and the latter alone seems to be enough to form a market. 수많은 지하아이돌 시장 등이 그렇게 성립된다.So many underground idol markets are established. 자체 콘텐츠 위력이 가장 강렬히 드러나는 시장 분위기란 얘기다.In other words, it is a market atmosphere in which the power of its own content is most strongly revealed.
어찌 됐건 일본은 K팝 산업에 있어 산업적 ‘지렛대’라 불릴 정도로 중차대한 시장이다.In any case, Japan is such a significant market that it is called an industrial "lever" for the K-pop industry. 코로나19 팬데믹 직전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발간한 ‘2019 음악 산업백서’ 기준 일본시장 수익은 한국음악산업 전체 수출액의 65.1%를 차지하고 있었다.As of the "2019 Music Industry White Paper" published by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just before the COVID-19 Pandemic, Japanese market revenue accounted for 65.1% of the total exports of the Korean music industry. 그런 점에서 다른 ‘입덕 요소’들은 르세라핌 또는 하이브만의 독특한 입지 덕택이라 해도, 전반적 자체 콘텐츠 전략은 분명 K팝 산업 전체가 돌아봐야 할 글로벌시장 전략과제가 맞다.In this regard, even if other "enthusiastic elements" owe their unique location to Leceraphim or Hive, the overall self-content strategy clearly fits the global market strategy task that the entire K-pop industry should look back on. 더 큰 관심이 요구된다.It requires greater attention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