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심각성 보여준 '더 글로리', 꼭 이래야만 했나"The Glory," which showed the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had to be like this?

[리뷰]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Review] Netflix Original Series <The Glory>


▲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 스틸 이미지 ▲ Still image of Netflix's original series The Glory ⓒ Netflixⓒ Netflix
미혼모의 딸로 태어나, 건축가가 되고 싶다는 꿈을 간직하며 열심히 살아가던 고등학생 문동은(아역 정지소 분).Moon Dong-eun, a high school student who was born as a daughter of a single mother and lived a hard life with the dream of becoming an architect (played by child actor Jeong Ji-so. 어느 날, 동은은 체육관에서 박연진(아역 신예은 분)과 그의 친구들인 이사라(아역 배강희 분), 최혜정(아역 송지우 분), 전재준(아역 송병근), 손명오(아역 서우혁)를 만난다.One day, Dong-eun meets Park Yeon-jin (child actress Shin Ye-eun) and his friends Isara (child actor Bae Kang-hee), Choi Hye-jung (child actor Song Ji-woo), Jeon Jae-joon (child actor Song Byung-geun), and Son Myung-oh (child actor Seo Woo-hyuk) at the gym. 자기 대신 화장실 청소를 해달라는 연진의 부탁을 동은이 거절하자, 그들은 온갖 방식으로 동은을 괴롭히기 시작한다.When Dong-eun refuses Yeon-jin's request to clean the bathroom instead of her, they start bothering Dong-eun in all sorts of ways.

학교와 경찰마저 자신을 보호해주지 않자 정신적, 신체적 학대를 참다tolerate mental and physical abuse as schools and police fail to protect themselves못한 동은은 자퇴를 선택하며 한 가지 결심을 품는다.Dong-eun, who failed, chooses to drop out and has one resolution. 그들에게 반드시 복수하겠다고.Tell them I'll get even with them. 시간이 흘러 초등학교 교사가 된 문동은(송혜교 분).Moon Dong-eun (Song Hye-kyo) became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over time. 그는 가정폭력에 시달리던 강현남(염혜란 분)과 아버지를 살해한 범인을 향한 복수심을 품고 있던 바둑 선배 주여정(이도현 분)의 도움을 받아 오랫동안 갈고닦은 계획을 마침내 실행에 옮긴다.With the help of Kang Hyun-nam (Yeom Hye-ran), who suffered from domestic violence, and Joo Yeo-jung (Lee Do-hyun), a senior Go player, who had a vengeance for the murderer of his father, he finally carries out his long-prepared plan.

한국 사회에서 학교 폭력이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된 것은 하루 이틀 일이 아니다.School violence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n society. 뉴스에서는 잊을만하면 학교 폭력 소식이 등장한다.News of school violence appears on the news. 나날이 잔혹해지는 학교폭력 방법과 수위는 과연 한국 사회가 학교 폭력을 제대로 예방하고 처벌하는지 의문을 품게 만든다.The increasingly brutal methods and levels of school violence make people question whether Korean society properly prevents and punishes school violence. 그래서일까? 근래에 많은 대중은 학교 폭력 이후 가해자의 삶에 주목한다.Is that why? Recently, many people pay attention to the lives of perpetrators after school violence.

2021년, 스포츠계와 연예계를 뒤흔든 학교 폭력 고발 사건이 대표적이다.In 2021, a representative case of school violence that shook the sports and entertainment industries is the case. 공인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도 있는 인기 연예인과 유명 선수 중 학교 폭력 가해자라는 사실이 드러난 이들은 큰 논란에 휩싸인 채 업계에서 퇴출당했다.Among popular celebrities and famous players, who can be considered to belong to the category of public figures, those who were found to be perpetrators of school violence were kicked out of the industry amid great controversy. 사실 학교 폭력의 가해자에게 합당한 고통을 안기고 피해자에게 잃어버린 행복을 되찾아주는 것은 마땅히 이뤄져야 할 당연한 일이다.In fact, it is only natural for the perpetrators of school violence to suffer appropriately and restore the lost happiness to the victims. 단지 현실에서 정의가 바로 서지 못했을 뿐이다.It is just that justice has not been established in reality. 넷플릭스가 공개한 김은숙 작가의 복수극 <더 글로리>는 바로 이 뒤엉킨 정의를 바로잡으려는 사투를 그려낸다.Author Kim Eun-sook's revenge play <The Glory>, released by Netflix, depicts the struggle to correct this tangled definition.  

흡인력의 원천, 구조적으로 묘사된 학교 폭력The Source of Attraction, Structured School Violence

그래서 <더 글로리>는 학교 폭력을 묘사하는 데 심혈을 기울인다.So <The Glory> focuses on describing school violence. 동은이 복수를 결심한 이유에 공감할수록 이 복수극에 빠져드는 몰입도가 높아질 것이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more you sympathize with the reason why Dong-eun decided to revenge, the higher the level of immersion in this revenge play will increase.

특히 드라마는 "'어, 나는 아무 잘못이 없어', '네, 아무 잘못 없습니다'를 사명처럼 이해시켜야 되는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라는 김은숙 작가의 인터뷰 내용대로 학교 폭력이 단순히 한 개인의 잘못으로 인해 기인하는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거듭 강조한다.In particular, the drama reiterates that school violence is not just a problem caused by an individual's fault, as Kim Eun-sook said in an interview. 동은이 무의식 중에 화상 흉터를 긁는 장면을 클로즈업하며 피해자의 트라우마를 부각하거나, 학교 폭력의 다양한 양상을 묘사하며 구조적인 문제를 지적한다.Dong-eun unconsciously closes up the scene of scratching a burn scar, highlights the victim's trauma, describes various aspects of school violence, and points out structural problems.   실제로 학교 폭력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는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In fact, the vicious cycle of school violence appears in various forms. 플래시백 장면을 통해 동은이 입은 피해의 여러 모습이 스쳐 지나가는데, 그때마다 다른 맥락의 문제를 지적하는 식이다.Through the flashback scene, various images of Dong-eun's damage pass by, each time pointing out a different context of the problem. 약국에서 동은이 윤소희(이소이 분)를 만난 후, 체육관에 불려 가 연진에게 화장실 청소를 대신해 달라는 부탁을 받는 장면이 대표적이다.A typical scene is when Dong-eun meets Yoon So-hee (Lee So-yi) at a pharmacy and is called to the gym and asked Yeon-jin to clean the bathroom instead.

이 장면은 방관자가 피해자가 되고, 피해자가 또 다른 가해자가 되는 학교 폭력의 악순환을 단적으로 보여준다.This scene clearly shows the vicious cycle of school violence in which bystanders become victims and victims become other perpetrators. 약국에서 화상 흉터를 긁으며 약을 받는 소희를 목격하고도 동은은 별다른 행동을 취하지 않는다.Dong-eun does not take any action even after witnessing So-hee, who is receiving medicine while scratching a burn scar at a pharmacy. 하지만 소희가 고통을 이기지 못해 자살하자 동은은 체육관에서 그녀의 대체재가 된다.However, when So-hee commits suicide because she cannot overcome the pain, Dong-eun becomes her substitute at the gym. 그로 인해 복수를 다짐한 동은도 결국 착실히 계획을 실행하면서 또 다른 폭력의 당사자이자 가해자로 변한다.As a result, Dong-eun, who vowed revenge, eventually steadily executes the plan and becomes another party to violence and perpetrator.

학교폭력을 키우는 주변 환경 역시 고발 대상이다.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at fosters school violence is also subject to accusations.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문제 해결 의지가 없는 교사 김종문(박윤희 분)이다.The first thing that catches my eye is Kim Jong-moon (Park Yoon-hee), a teacher who is not willing to solve problems. 그는 경찰서까지 불려 간 상황에서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를 먼저 챙기고, 각종 가혹 행위가 피해자의 행실에서 비롯됐다고 비난한다.He takes care of the perpetrator first, not the victim, at a time when he was called to the police station, and criticizes that various harsh acts stemmed from the victim's behavior. 동은이 자퇴서를 내자 근무평가에 문제가 생길 것을 우려해 그녀를 구타하기까지 한다.When Dong-eun handed in her resignation letter, she even beat her out of fear of having problems with her work evaluation. 이러한 행실의 기저에는 학교 내에서 사고만 나지 않으면 된다는 사고방식이 깔린 듯 보인다.At the basis of this behavior, it seems that the mindset that there should be no accidents in the school is laid.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현상 유지를 하려는 데 그치는 것이다.Rather than actively solving the problem, it is only trying to maintain the status quo. 이는 가해 학생 부모의 태도를 보면 더 극명하게 드러난다.This is more pronounced when looking at the attitudes of the perpetrators' parents. 그들은 자녀의 가혹 행위를 훈육하지 않는다.They don't discipline their children for their harsh behavior. 그저 일을 키워서 시끄럽게 만들었다고 질책한다.They just accuse me of making a fuss by raising my work. 조용히 합의를 이루려는 과정에서 빈부격차 문제가 끼어드는 건 덤이다.It is an additional matter that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tervenes in the process of quietly reaching an agreement.  

장르의 쾌감을 극대화하는 질주Runs to maximize genre enjoyment.
 
▲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 스틸 이미지 ▲ Still image of Netflix's original series The Glory ⓒ Netflixⓒ Netflix
 
이때 <더 글로리>가 학교폭력 장면을 전시하는 방식이 눈길을 끈다.At this time, the way <The Glory> displays school violence scenes is eye-catching. 자칫 복수극의 정형화된 양식에 갇힐 수도 있었던 드라마에 생동감을 불어넣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t brings life to dramas that could have been trapped in the stereotyped style of revenge dramas. 복수극은 필연적으로 복수가 이뤄지는 결말의 임팩트가 강할 수밖에 없으므로, 동기와 배경을 쌓아나가는 초중반부 내용이 지루하거나 답답할 수도 있다.Since revenge plays inevitably have a strong impact on the ending of revenge, the early and mid-term content of building motivation and background may be boring or frustrating. 하지만 <더 글로리>는 시간순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지 않는다.However, The Glory does not tell the story in chronological order. 동은이 계획대로 복수를 실천하는 과정 사이사이에 짧은 호흡으로 과거 장면을 플래시백처럼 삽입하며 복수의 진행과 이유를 병치한다.In the process of Dong-eun practicing revenge as planned, the past scene is inserted like a flashback in a short breath, and the progress and reasons of the revenge are juxtaposed. 그 결과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묘사와 설정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전개 속도는 자연히 빨라지고, 극의 흡인력 역시 더욱 강해진다.As a result, the speed of development naturally increases without missing a specific and in-depth description and setting, and the attraction of the play also becomes stronger.

가해자를 사회적으로 파멸시키려는 동은의 계획이 학교 폭력과 쌍을 이루고 있기에 드라마의 전반적인 구조는 더 인상적이다.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rama is more impressive because Dong-eun's plan to destroy the perpetrator socially is paired with school violence. 그녀는 본인이 겪은 학교 폭력의 수법을 고스란히 역이용해 가해자에게 되돌려줄 계획이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she plans to reverse the method of school violence she experienced and return it to the perpetrator. 교사라는 지위로 고등학교 시절 담임교사였던 김종문에게 복수하는 대목이 대표적이다.A typical example is revenge on Kim Jong-moon, who was a homeroom teacher in high school with the status of a teacher. 1부에서 결과가 명백하게 드러난 몇 안 되는 복수 중 하나이기에 유독 의미심장하다.It is particularly meaningful because it is one of the few revenge that the results are clearly revealed in Part 1. 동은은 자신이 교사가 된 사실을 옛날 선생님께 알려드리며 그가 자신의 악행이 탄로 날까 봐 불안에 떨도록 만든다.Dong-eun informs the old teacher that she has become a teacher and makes him tremble with anxiety that his evil deeds will be revealed. 또 학교 후배로서 종문의 아들에게 의도적으로 접근해 아버지에 대한 의심을 불어넣으면서 가족 관계를 파탄 낸다.He also intentionally approached Jong-moon's son as a junior at school, instilling doubts about his father, and breaking up family relationships.  

이에 더해 자신이 고통받은 수법으로 연진 일당을 궁지에 몬다.In addition, he puts the Yeonjin gang in a corner with the method he suffered. 일단 방관자와 피해자였던 경험을 살려 가해자 간에 균열을 일으킨다.First of all, using the experience of being a bystander and a victim, it causes cracks between the perpetrators. 그들 사이에도 가해자와 피해자, 그리고 악행에 상대적으로 덜 가담한 방관자가 있다는 사실을 놓치지 않는다.They do not miss the fact that there are perpetrators, victims, and relatively less onlookers among them. 동등한 친구로 대우받지 못하는 손명오를 자극해 계획에 포섭하고, 상대적으로 푸대접받던 혜정을 협박해 연진, 사라, 재준을 옥죄는 도구로 활용한다.It stimulates Son Myung-oh, who is not treated as an equal friend, embraces the plan, and uses Yeon-jin, Sarah, and Jae-joon as a tool by threatening Hye-jeong, who was relatively treated poorly. 지옥 같던 학교라는 공간도 역이용한다.It also uses the hellish school space. 교실이 자신만의 체육관이라고 독백하는 장면이 대표적이다.A case in point is the monologue that the classroom is his own gym. 모든 부모는 원하든 원하지 않든 닫힌 사회이면서 모든 권한과 힘이 교사에게 집중된 학교에 아이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All parents, whether they want to or not, have to send their children to a closed society where all authority and power are concentrated on teachers. 이러한 현실을 집요하게 파고들며 딸 예솔을 동은에게 맡겨야 하는 연진을 극도로 불안하게 만든다.By persistently digging into this reality, Yeon-jin, who has to leave her daughter Yesol to Dong-eun, is extremely anxious. 이러한 복수 계획은 확실한 주제 의식을 전달하는 기제로 보이기도 한다.These revenge plans also seem to be a mechanism for conveying a firm sense of subject. 자신의 복수가 절대 영광스럽지 않다고 말하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그간 받지 않은 당연한 처벌을 동일한 방식으로 되돌려 받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s can be seen from saying that one's revenge is never honored, it is only to receive the same natural punishment that one has not received so far.  

관습적인 설정과 평면적인 캐릭터라는 단점conventional setting and flat character disadvantages

다만 <더 글로리>의 1부는 단점도 적지 않다.However, the first part of "The Glory" has many disadvantages. 아직 전체 분량의 절반까지만 공개되었기에 섣부른 판단일 수도 있지만, 김은숙 작가의 복수극이라는 타이틀에 비하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대목들이 곳곳에 있다.It may be a hasty judgment because only half of the total amount has been released, but there are parts that do not meet expectations compared to the title of writer Kim Eun-sook's revenge play. 예를 들어 너무 익숙한 설정을 주요 소재로 활용하면서 시원하고 통쾌한 스토리텔링의 힘을 허비한다.For example, it wastes the power of cool and pleasant storytelling while using too familiar settings as its main material. 후반부로 들어서면 중요한 갈등 소재로 출생의 비밀이 부각되고, 친부와 생부 간의 대립이 이어진다.Entering the second half, the secret of birth is highlighted as an important conflict material, followed by a confrontation between the biological father and the biological father. 한국 드라마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통속극으로 길이 새기 시작한다.It is a popular drama that is common in Korean dramas, and the road begins to leak. 바둑을 활용한 복선이나 암시 등에서 두뇌 싸움을 기대한 시청자 입장에서 보면 이러한 전개는 호불호가 갈릴 여지가 충분하다.From the perspective of viewers who expected a brain fight in double track or suggestion using Go, there is plenty of room for likes and dislikes.  

평면적인 악역 묘사와 활용법도 문제다.Another problem is how to describe and use the villain in a flat manner. 드라마는 기본적으로 연진 일당에게 조그만 동정의 여지도 주지 않으면서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복수에 매진하는 동은을 정당화시키려 한다.The drama basically tries to justify Dong-eun, who tries to get revenge without giving Yeon-jin a little sympathy. 문제는 그들을 심판받는 악역으로 만들기 위해 지나치게 수동적으로 묘사하면서 개성을 억누른다는 점이다.The problem is that they suppress their individuality by describing them too passively to make them into judged villains. 그들은 동은이 목을 조여 오는 와중에도 제대로 된 반응을 하지 못한 채 속수무책으로 당하기만 한다.While Dong-eun is strangling them, they are unable to respond properly and are helpless. 화내고 당황하고 짜증 내고, 비웃는 리액션만 보여줄 뿐 극을 주도하지 못한다.He only shows angry, embarrassed, annoyed, and ridiculed reactions, but he cannot lead the play. 이에 더해 빈자와 부자를 선악의 이분법으로 재단하는 듯한 묘사도 기시감을 더한다.In addition, the description that seems to cut the rich and the poor in a dichotomy of good and evil adds to the sense of deception. 죄의식 없는 가해자와 상류층을 비판하려는 의도로 보이기는 하지만, 스테레오타입에 갇혀 있는 듯한 인상이 짙다. 그 결과 동은의 계획이 진행될수록 쾌감과 반비례해 극의 긴장감은 떨어진다.Although it appears to be intended to criticize the innocent perpetrators and the upper class, the impression of being trapped in stereotypes is strong, and as Dong-eun's plan progresses, the tension in the play decreases in inverse proportion to pleasure. 그래도 결말에서 연진을 비롯한 몇몇 캐릭터가 다르게 활용될 기미가 엿보이기에 2부를 기대할 여지는 있다.Still, there is room for the second part because there are signs that some characters, including Yeon-jin, will be used differently in the ending.  

연출과 주제의 모순contradiction between direction and theme
 
▲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 스틸 이미지 ▲ Still image of Netflix's original series The Glory ⓒ Netflixⓒ Netflix
 
무엇보다도 주제 의식과 충돌하는 연출법도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Above all, it is difficult to avoid criticism for the method of directing that conflicts with the subject consciousness. 동은을 향한 가혹 행위가 이렇게까지 적나라하게 묘사되어야 하는지 의문이 생기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t raises questions about whether the harsh behavior toward Dong-eun should be described so openly. 실제로 피부에 화상을 입거나 성희롱 및 성추행을 당하고, 학교 밖에서까지 가혹행위가 이어지는 장면은 적나라하게 화면을 채운다.In fact, the scene where the skin is burned, sexual harassment or sexual harassment, and harsh acts continue outside the school fills the screen openly. 이는 동은이 겪은 고통을 전달하고 복수에 당위성을 부여하겠다는 최소한의 목적을 넘어서는 듯 보인다.This seems to go beyond the minimum purpose of conveying the pain experienced by Dong-eun and giving justification to revenge. 그보다는 누군가의 지옥을 시청자들의 시선을 붙잡고, 장르적 재미를 극대화하기 위한 도구로만 소비한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Rather, it is impossible to erase the impression that someone's hell is consumed only as a tool to catch the eyes of viewers and maximize genre fun. 폭력이 자극적으로 묘사될수록 시청자의 동정심과 증오 역시 더 강해지므로. The more provocative the violence is described, the stronger the viewers' sympathy and hatred.

이는 결국 주제와 형식의 모순이라고 할 수 있다.In the end, this can be said to be a contradic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form. <더 글로리>는 수십 년이 지나도 지워지지 않는 상흔을 남기는 폭력을 경계하고, 동시에 결코 용납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는 드라마다. 하지만 작품 속 폭력은 마치 면죄부라도 받은 듯 여러 차례에 걸쳐 너무나도 세밀하게 모습을 비춘다."The Glory" is a drama that warns against violence that leaves an indelible scar even decades later, and at the same time says it should never be tolerated, but the violence in the film reflects so much detail on several occasions as if it were excused. 이는 앞서 보았듯이 장르적 재미를 보장하지만, 조심성이 다소 부족했다는 안타까움을 자아내기에도 충분하다.This guarantees genre fun as seen earlier, but it is also enough to arouse the regret that there was a slight lack of caution. 혹시 모를 실제 피해자의 트라우마를 배려해 보다 우회적인 형태로 학교 폭력을 묘사했더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은 아쉬움을 남기는 것이다.It leaves regrets that it would have been better to describe school violence in a more indirect way in consideration of the trauma of the actual victim.  

그래도 <더 글로리>가 한 번 보면 정주행을 피하기 어려운 흥미로운 드라마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Still, the fact that "The Glory" is an interesting drama that is difficult to avoid binge watching does not change once you watch it. 여전히 탁월한 김은숙 작가의 필력과 배우들의 열연이 빛을 발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riter Kim Eun-sook's writing skills and actors' passionate performances still shine. 김은숙 작가의 필력은 기대에 걸맞은 평가를 받지 못한 전작 <더 킹: 영원의 군주> 이후 칼을 갈았구나 싶을 정도로 인상적이다.Writer Kim Eun-sook's writing skills are so impressive that it feels like she has sharpened her sword since her previous work The King: The Lord of Eternity, which did not receive an evaluation that met expectations. 겉으로는 냉정하나 속으로는 복수심과 상처로 타들어 가고 있는 송혜교의 연기는 명불허전이고, 이전과는 전혀 다른 이미지의 악역으로 변신한 임지연과 신예은의 재발견도 또 하나의 관전 포인트다.Song Hye-kyo's performance, which is calm on the outside but is burning with revenge and wounds on the inside, is also another point to watch, and the rediscovery of Lim Ji-yeon and Shin Ye-eun, who have transformed into villains with a completely different image than before. 덕분에 <더 글로리>는 몇몇 문제가 있기는 하나 사회비판물로서의 본분과 장르물로서의 쾌감을 모두 잡아내는 데 성공한 듯 보인다.Thanks to this, "The Glory" seems to have succeeded in capturing both its role as a social criticism and its pleasure as a genre, although there are some problems. 16부작을 두 파트로 나누어 공개하는 게 아쉬울 정도로. It is regrettable that the 16-episode series will be released in two parts.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원종빈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s://blog.naver.com/potter1113)와 브런치(https://brunch.co/@potter1113)에도 게재한 글입니다.Additional Post | This article is also posted on the private blog of citizen reporter Won Jong-bin (https://blog.naver.com/potter1113)) and branch (https://brunch.co/@potter1113).
Previous Post Next Post

نموذج الاتصا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