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출신 대기업 여성 임원, 공황발작의 진짜 원인 [송주연의 드라마 인물 탐구생활]Female executives from local universities, real causes of panic attacks [Song Juyeon's drama character exploration life]

[드라마 인물 탐구생활 76] JTBC <대행사> 아인에게 필요한 '포기할 용기' [Drama character exploration 76] JTBC's "The Courage to Give Up" that Ahin needs.

드라마 속 인물들의 심리를 탐구해봅니다.Explore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in the drama. 그 때 그 장면 궁금했던 인물들의 심리를 펼쳐보면, 어느 새 우리 자신의 마음도 더 잘 보이게 될 것입니다.If we unfold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who were curious about the scene at that time, we will soon be able to see our own minds better. <편집자말><Editor's Word>

'도망치지마, 도망치지마, 도망치지마.'"Don't run away, don't run away, don't run away."
 
한계에 부딪힐 때마다 이렇게 스스로에게 주문을 거는 JTBC <대행사> 아인(이보영)은 무척이나 당당한 여성이다.JTBC's "Agency" Ahin (Lee Bo-young), who orders herself whenever she faces limitations, is a very confident woman. 똑 부러지고, 어디서도 주눅 들지 않으며 남성 중심의 회사 문화 속에서 정공법으로 자신의 자리를 만들어 간다.He is smart, does not feel intimidated anywhere, and creates his place in a male-centered company culture. 드라마에서 최 상무(조성하)로 상징되는 가부장제의 남성들은 학연, 접대, 사적인 연결 등 치졸한 방법을 동원해 아인을 공격하지만, 아인은 매번 실력과 노력으로 이들을 이긴다.In the drama, patriarchal men, symbolized by Choi Sang-ha (Cho Sung-ha), attack Ah-in using cheap methods such as school ties, hospitality, and personal connections, but Ah-in beats them with skills and effort every time. 마치 첫 회 자신이 발표한 광고 속 카피 "내 한계를 왜 지들이 정해?"라는 문구를 직접 실천이라도 하듯이 말이다.As if he were practicing the phrase "Why do they set my limits?" in the advertisement he released in the first episode.
 
이런 아인은 가부장제 사회에 도전장을 내밀고 '자기 자신'으로 살아가는 여성처럼 보인다.Such A-in looks like a woman who challenges the patriarchal society and lives as herself. 심리학적으로 보았을 때 사람은 자기 자신으로 살아갈 때 안정되고 행복한 법이다.Psychologically, a person is stable and happy when he or she lives as himself or herself. 이에 따르면 분명 아인은 충만한 삶을 살고 있어야 한다.According to this, Ahin must have a full life. 그런데 이상하게도 아인은 그 반대다.But strangely enough, Ahin is the opposite. 자신이 원하는 성공을 거머쥐었으면서도 늘 불안해하며, 공황발작을 경험하기도 한다.Even though they have achieved the success they want, they are always anxious and experience panic attacks. 정신과 약물에 의지해 이런 증상들을 조절해야 간신히 잠들 수 있다.You can barely fall asleep by controlling these symptoms by relying on psychiatric drugs. 그토록 당당한 그녀에게 행복감은 전혀 찾아볼 수가 없다.There is no sense of happiness in her so confident.
 
도대체 '자기 자신'으로 당당하게 살아가는 듯 보이는 아인은 왜 이토록 불행한 걸까.Why is Ahin, who seems to be living proudly as herself, so unhappy? 아인의 마음을 탐구해봤다.I explored Ahin's mind.
  
▲  부모도 없이 자란 지방대 출신의 여성 아인이 대기업 임원이 된 성공스토리는 회사의 홍보포인트가 된다.▲ The success story of a woman from a local university who grew up without her parents becoming an executive of a large corporation becomes a public relations point for the company. ⓒ JTBCⓒ JTBC
 
그 욕망은 어디서 비롯된 걸까Where did that desire come from?
 
아인은 스스로 말하듯 부모 없이 자란 지방대 출신의 여성이다.Ahin is a woman from a local university who grew up without her parents, as she says herself. 아버지는 알코올 중독에 가정폭력을 일삼는 자였고, 어머니는 이런 남편을 피해 어린 아인 곁을 떠났으니 부모는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다.The father was an alcoholic and domestic violence worker, and the mother left the young child to avoid such a husband, so the parents are like "nothing." 아인은 고모집에서 눈칫밥을 먹으며 목숨을 유지하지만, 늘 결핍감과 소외감에 시달리며 자란다.Ah-in maintains her life by eating nunchi at her aunt's house, but she always grows up suffering from a sense of lack and alienation. 회상 장면으로 추측하건데 고모는 아인에게 최소한의 생존만 보장해주고, 다른 부분은 자신의 딸과 비교하며 오히려 아인의 성장을 방해했을 것으로 추측된다.Presumably from the scene of recollection, it is presumed that the aunt guaranteed Ahin minimal survival, and compared the other parts with her daughter, rather hindering Ahin's growth. 이렇게 성장을 방해받을 때마다 어린 아인은 "도망치지마"라고 되뇐다.Whenever she is hindered by her growth, young Ah-in repeats, "Don't run away."
 
도망치지 않기 위해 그녀가 선택한 것이 바로 '공부'였다.In order not to run away, her choice was to study." 수학여행을 가는 버스 안에서도 공부만 하는(4회) 아인은 아마도 '공부'를 잘해 '성공'하는 것만이 자기 자신을 지키는 방법이라 여겼던 것 같다.Ah-in, who only studies on the bus going on a school trip (4 times), probably thought that "success" because she was good at "study" was the only way to protect herself.
 
그런데 아인은 왜 살아남기 위한 수단으로 '공부'와 '성공'을 선택했을까.But why did Ahin choose "study" and "success" as means of survival? 아마도 이는 우리 사회가 능력 있고 성공한 자들에게 베푸는 호의를 온몸으로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Perhaps this is because our society felt the goodwill of giving to the capable and successful. 아인이 본 세상은 강해져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곳이었을 테다.The world that Ahin saw would have been a place where he could only survive if he became stronger. 한국 사회에서 '강한 자'란 공부를 잘해서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에 오른 자들이다.In Korean society, 'strong people' are those who have risen to a high social position by studying well. 때문에 아인은 어렸을 때는 공부에 매달리고, 성인이 되어서는 성공해서 높은 자리로 올라가는 것에 자기 자신을 건다.Therefore, Ah-in clings to her studies when she was young, and when she becomes an adult, she bets herself on succeeding and rising to a higher position. "남들만큼 대접받으려면 이 방법밖에 없다"(10회)고 믿으며, 이것이 '나답게' 사는 법이라고 생각한다(아인은 드라마 속에서 종종 "나답게 일한다"고 말하곤 한다).Believing that "this is the only way to be treated as much as anyone else" (10 times), I think this is how I live (Ahin often says "I work as I am" in dramas). 그토록 심리적 고통에 시달리면서도 말이다.Despite all the psychological distress he suffered. 정말 원하는 것일까Do you really want it?
 
하지만, 이것이 정말로 아인이 원하는 삶이었을까?But was this really the life that Ahin wanted? 4회 방영된 고등학교 시절 아인은 자신에게 다가오는 친구를 매몰차게 대한 뒤 이렇게 생각한다.In high school, which aired four episodes, Ahin thinks like this after treating her friend who approaches her coldly.
 
'친해지면 나를 싫어하게 될까 봐, 언젠가 버리고 떠날까 봐 불안해하지 않을까."I'm afraid you'll hate me when you get to know me, and you'll be afraid you'll leave me one day."''
 
이는 아인이 '공부' 나 '일'을 진정으로 원했기보다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삼고 있음을 잘 보여준 장면이었다.This was a scene that showed that Ahin was using "study" or "work" as a means to protect herself rather than really wanting it. 애착 대상이었던 어머니가 갑작스레 자신을 떠난 경험은 아인에게 '버림받음'에 대해 지극한 불안을 품게 했을 것이다.The experience of suddenly leaving her mother, who was the object of attachment, would have caused Ahin to have extreme anxiety about being abandoned. 그리고 아인은 이 불안을 방지하기 위해 친구를 사귀지 않는다.And Ahin doesn't make friends to prevent this anxiety. 친해지지 않으면 버림받는 일도 없을 테니 말이다.If you don't get close, you won't be abandoned. 이런 아인에게 공부는 '강한 자'가 되기 위한 생존 수단인 동시에 불안을 다스리는 방법이었던 것이다.For Ahin, studying was both a means of survival and a way to control anxiety to become a "strong person." 그렇게 자라난 아인은 성인이 되어서도 '일'로 무장한 채 다른 사람에게 곁을 내어주지 않는다.Ah-in, who grew up like that, is armed with "work" and does not give up his side to others even when he becomes an adult.
 
나는 이런 아인이 진정으로 원했던 건 '성공'이 아니라 '버림받지 않고 사랑받는 것'이라고 생각한다.I think what Ahin really wanted was not "success" but "to be loved without being abandoned." 어떤 욕구가 너무나 간절할 때 때로는 그것을 이루지 못할 것 같은 두려운 마음이 동시에 생긴다.When a certain desire is too desperate, sometimes a fear of not being able to achieve it occurs at the same time. 그리고 그 두려움을 맞닥뜨리기 힘들어 지레 피해버리기도 한다.And it's hard to face that fear, so you can avoid it. 결국 아인은 버림받고 싶지 않은 마음이 너무나 간절하기에 오히려 이를 외면하고 성공에 집착해왔던 것이다.In the end, Ahin was so desperate that she didn't want to be abandoned that she turned away from it and obsessed with success. '도망치지 마'라고 스스로에게 주문을 거는 아인이지만, 역설적이게도 정말 원하는 것으로부터 도망치고 있었던 셈이다.Ahin is ordering herself not to run away, but paradoxically, she was running away from what she really wanted.
  
▲  아인은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지만 전혀 행복하지 않다.▲ Ahin is on the road to success, but she is not happy at all. ⓒ JTBCⓒ JTBC
 
포기할 때 진짜 내가 된다When you give up, you really become yourself.

그렇다면 아인이 행복해지려면, 그러니까 진정으로 자기 자신으로 살려면 무엇이 필요할까?So what does it take for Ahin to be happy, so to truly live as herself? 나는 삶의 전부라 여겨왔던 성공에 대한 집착을 포기하는 용기가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생각한다.I think the courage to give up my obsession with success, which has been considered everything in life, is more urgent than anything else.
 
그러기 위해선 내가 정말 원하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어야 할 것이다.In order to do that, I will have to be able to recognize what I really want. 아인의 친구이자 정신과 의사인 수진(신수정)은 아인에게 이를 상기시키기 위해 애를 쓴다.Su-jin (Shin Soo-jung), Ah-in's friend and psychiatrist, tries to remind Ah-in of this. 하지만, 아인을 둘러싼 환경은 이런 성찰을 끊임없이 방해한다.However, the environment surrounding Ahin constantly hinders this reflection. 사람들은 아인이 성취해냈을 때 찬사를 보내고, 불행한 과거를 딛고 대기업 임원이 된 성공담은 그녀를 유명인으로 만든다.People praise Ahin when she has achieved it, and the success story of overcoming the unhappy past and becoming an executive of a large company makes her a celebrity. 이런 분위기는 내가 정말 원하는 것이 '세속적 성공'이라고 쉽게 착각하게 만든다.This atmosphere makes it easy to misunderstand that what I really want is 'secular success'.

심지어 11회 왕회장 근철(전국환)은 아인을 불러 후계자 경쟁중인 한수(조복래)와 한나(손나은)에게 "극한의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무너지지 않고 버티는 힘"을 키워달라고 부탁하기까지 한다.In the 11th episode, Chairman Geun-cheol (Jeon Kook-hwan) even calls Ah-in to ask Hansoo (Cho Bok-rae) and Hanna (Son Na-eun), who are competing for successors, to develop their "power to withstand extreme stress." 이는 자기 자신을 몰아세워서라도 성공만 하면 된다는 매우 위험한 가치의 설파였다.This was a very dangerous preaching of value, in which one could only succeed by pushing oneself forward.
 
나는 똑똑한 아인이 이런 사회적 압력에 속지 않기를 바란다.I don't want smart Ahin to be fooled by these social pressures. 대신 왜 일과 성공을 나를 지키기 위한 수단으로 삼았는지에 대해 질문해보았으면 한다.Instead, I want you to ask me why I used work and success as a means to protect me. 대행사 임원으로서 아인은 늘 광고를 의뢰한 광고주의 의중을 파악하려 애쓰며 일한다.As an agency executive, Ahin always works hard to grasp the intentions of advertisers who requested advertisements. 광고주의 마음을 알아내기 위해 품었던 질문들을 나 자신에게 던져본다면 한다.If you ask yourself the questions you had to find out how advertisers feel, you can do it. 이를 통해 내가 지금까지 집착해온 것들이 자신의 내면이 아니라 사회적 압박에서 왔음을, 이에 동조함으로 해서 진정으로 원하는 것으로부터 도망치고 있음을 알아차렸으면 좋겠다.Through this, I want you to realize that what I have been obsessed with so far is not from my inner self, but from social pressure, and that I am running away from what I really want by sympathizing with it.
 
이를 알아차린 후에는 진정한 삶이란 정말로 내가 원하는 것을 스스로에게 해줄 수 있는 삶임을 실천해보았으면 한다.After realizing this, I want you to practice that real life is a life that can really do what you want. 아인이 정말로 원하는 것이 '버림받지 않고 사랑받는 것'이라면, 일을 핑계로 사람들과 거리를 둘 게 아니라, 함께 일하며 느끼는 기쁨을 맛볼 수 있어야 할 것이다.If Ah-in really wants to be loved without being abandoned, she should be able to enjoy the joy of working together, not distancing herself from people on the pretext of work. 즉, 일의 성과에만 집착하던 마음을 내려놓고, 일하는 과정 중에 느껴지는 여러 감정들을 수용하며 사람들과 함께 할 용기를 내야 할 것이다.In other words, you should put down your mind that was only obsessed with the outcome of your work, accept the various emotions you feel during the work process, and have the courage to be with people.
 
다행히 아인에겐 이런 아인의 마음을 꿰뚫어보고 있는 동료들이 있다.Fortunately, Ahin has colleagues who can see through her heart. 아인의 팀원들은 아인이 거절해도 끊임없이 '함께 하자'고 다가간다.Ah-in's team members constantly approach Ah-in to "together" even if Ah-in refuses. 아인도 서서히 마음을 열어가고 있는 듯이 보인다.Ahin seems to be slowly opening her heart. 아마 아인이 이들에게 마음을 활짝 열 수 있을 때, 강하지 않아도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음을 체험하게 될 것이다.Perhaps when Ahin can open her heart to them, she will experience that she can be with people even if she is not strong. 그럴 때 성공해서 강해지려는 가짜 욕망을 포기하고 '진짜 욕망'을 추구하는 용기를 낼 수 있게 될 것이다.In that case, you will be able to give up your fake desire to succeed and become strong and have the courage to pursue a "real desire."
  
▲  아인이 정말 원하는 건 버림받지 않고 사람들과 함께하는 삶일테다.▲ What Ahin really wants is to live with people without being abandoned. ⓒ JTBCⓒ JTBC
 
주체적인 삶이란 무엇일까.What is an independent life? 많은 이들이 드라마 속 아인처럼 어디서든 주눅들지 않고 당당하게 살아가는 것을 '주체적'이라 여길 것 같다.Many people are likely to regard it as "subjective" to live confidently anywhere without being intimidated like the child in the drama. 하지만, 진실로 주체적인 삶이란 자기 자신이 정말로 원하는 것을 알고 실천하며 이를 위해 끊임없이 지금 내가 왜 여기서 이렇게 살고 있는지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삶일 테다.However, a truly independent life will be a life where you know and practice what you really want, and for this purpose, you will constantly ask questions and find answers about why you are living here like this now.
 
이런 고민을 하다 보면 종종 아무리 노력해도 현재의 고통을 멈추게 할 수 없을 것 같은 순간을 맞닥뜨리기도 한다.When you worry about this, you often encounter moments where no matter how hard you try, you will not be able to stop the current pain. 그때는 '무엇을 더할까'가 아니라 '무엇을 포기할까'라는 질문을 던져보았으면 한다.At that time, I want you to ask the question of what to give up, not what to add. 그리고 지금 내가 에너지를 쏟아붓는 일들이 나를 괴롭게 한다는 답을 얻는다면, 그건 그냥 포기하면 된다.And if I get the answer that the things I pour out my energy now are bothering me, I can just give up. 그런 것으로부터는 도망쳐도 괜찮다.It's okay to run away from that. 포기함으로써 더 주체적인 삶에 가까워질 수 있을 테니 말이다.By giving up, you will be able to get closer to a more independent life.

나는 이 드라마의 말미쯤엔 아인이 스스로에게 이렇게 말해줄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At the end of this drama, I hope Ahin will be able to tell herself this. 그래서 정말 자신이 원하는 것을 외면하며 사는 사람들에게 희망이 되어준다면 정말 좋겠다.So it would be great if it could be a hope for those who really turn a blind eye to what they want.
 
'도망쳐도 괜찮아."It's all right to run away. 포기해도 괜찮아'It's okay to give up.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송주연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s://blog.naver.com/serene_joo)와 브런치(https://brunch.co/@serenity153)에도 실립니다.Additional | This article will also appear on citizen reporter Song Joo-yeon's personal blog (https://blog.naver.com/serene_joo) and branch (https://brunch.co/@serenity153).
Previous Post Next Post

نموذج الاتصا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