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이슈] 혼란한 슴덕들…[D: Issue] Confused SM fans...“SM 독립성 보장하겠다”는데 왜 하이브 반대할까"I'll guarantee SM's independence". Why is he against Hive?

[데일리안 = 박정선 기자] 업계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켜온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소속사인 하이브와 케이팝 한류를 이끈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가 경영권을 두고 진흙탕 싸움을 이어가고 있다.[Dailyan = Reporter Park Jung-sun] Hive, the agency of the group BTS (BTS), which has maintained its undisputed No. 1 position in the industry, and SM Entertain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 which led the K-pop Korean Wave, continue to fight over management rights. 주주들은 물론 현 경영진, 평직원들까지 입장을 내면서 싸움에 가세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작 실제 케이팝 씬의 주역인 아티스트와 팬덤의 목소리는 소외되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Critics point out that the voices of artists and fandom, who are actually the main players of the K-pop scene, are alienated at a time when shareholders as well as current executives and plain employees are joining the fight.


ⓒSM엔터테인먼트SSM Entertainment하이브는 지난 10일 이수만 SM 전 총괄 프로듀서의 주식 총 352만3420주(약 4228억원, 14.8%)를 인수하는 계약서를 체결했다.On the 10th, Hive signed a contract to acquire a total of 3,523,420 shares (about 422.8 billion won, 14.8%) of former SM producer Lee Soo-man. 이에 앞서 SM 지분 9.05%를 확보해 2대 주주로 올라선 카카오에 이어 단숨에 SM의 1대 주주가 됐다.Prior to this, it secured a 9.05% stake in SM and quickly became the first shareholder of SM after Kakao, which became the second-largest shareholder. 다수의 SM 팬들은 “SM은 바뀌어야 한다”는 데에는 공감하면서도 하이브가 SM의 주인이 된다는 것에는 난색을 보였다.Many SM fans agreed that "SM should change," but showed reluctance that Hive would become the owner of SM.

사실상 1995년 설립돼 일본을 시작으로 글로벌 한류 및 케이팝 열풍을 선도해 온 국내 대표 엔터사가 후발 주자인 하이브에게 먹힌 꼴이라는 말도 나온다.In fact, some say that Korea's leading entertainment company, which was established in 1995 and has led the global Korean Wave and K-pop craze, has been eaten by Hive, a latecomer. 팬덤 내에서 “이수만은 자존심을 판 것과 다름없다”는 비아냥거림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This is also the reason why there are sarcastic remarks within the fandom, saying, "Lee Soo-man is no different from selling pride." SM이 하이브 산하 레이블로 편입되면 아티스트의 재계약이나 복귀 여부가 불투명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 때문이다.This is due to concerns that if SM is incorporated into a label under Hive, it will be unclear whether the artist will renew his contract or return. 특히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샤이니, 엑소 등 10년차를 훌쩍 넘긴 아이돌들 역사 하이브의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재계약 여부도 장담할 수 없다는 의견이 많다.In particular, there are many opinions that idols who have passed their 10th year, such as TVXQ, Super Junior, SHINee, and EXO, cannot be free from the influence of the history Hive and cannot guarantee whether to renew their contracts.

특히나 SM은 국내 아이돌 팬덤 사이에서도 독특한 특성을 지닌 것으로 유명하다.In particular, SM is famous for its unique characteristics among Korean idol fandom. 보통 가수를 쫓는 팬덤과 다르게 SM 팬덤은 ‘SM의 색깔’을 쫓는 경우가 많다.Unlike other fandoms that chase singers, SM fandoms often chase the "color of SM." SM의 기업색인 분홍색을 언급하며 ‘분홍색 피가 흐른다’는 의미의 ‘핑크 블러드’, SM 덕후를 칭하는 ‘슴덕’이라는 말이 생겨난 이유이기도 하다.This is also the reason why the term "Pink Blood," which means "pink blood flows," referring to pink, SM's corporate color, and "Sumdeok," which refers to SM fans, were created.

NCT 팬이라는 A씨는 “SM 팬덤은 특정 아티스트를 지지하면서도 결론적으론 ‘SM의 색깔’을 좋아하는 성향이 짙다.Mr. A, an NCT fan, said, "SM fandom supports certain artists, but in conclusion, they have a strong tendency to like 'SM's color." 한번 SM 소속 그룹을 좋아하면 SM의 다른 그룹들까지 가족이라고 생각하고 뭉치는 성향이 있다”면서 “SM의 성장을 위한 변화는 분명 필요하고, 반가운 것은 사실이지만 경쟁사인 하이브에게 회사가 넘어가면서 오랫동안 지켜 온 ‘색깔’과 팬덤의 ‘결속력’까지 잃을까 혼란스러운 상태”라고 말했다.Once I like SM's group, I think other groups of SM are family members, he said. "It's certainly necessary and welcome, but I'm confused that I'll lose the 'color' and the 'bonding power' of my fandom as the company passes over."


ⓒSM엔터테인먼트SSM Entertainment많은 팬들이 우려하는 지점이 바로 이 부분이다.This is where many fans are concerned. 물론 하이브 박지원 CEO는 “SM의 레거시(유산)를 존경한다.Of course, CEO Hive Park Ji-won said, "I respect SM's legacy. SM의 독립성을 보장하겠다.We will ensure the independence of SM. 하이브는 이미 멀티 레이블 체제를 증명해냈다”고 선언했다.Hive has already demonstrated a multi-label system," he declared. 하이브는 빅히트 뮤직을 비롯해 플레디스, 쏘스뮤직, KOZ엔터테인먼트, 빌리프랩, 어도어 등의 산하 레이블을 거느리고 있다.Hive has Big Hit Music as well as affiliated labels such as Pledis, Source Music, KOZ Entertainment, Bilyfrap, and Adore.

하지만 이 레이블들의 독립성이 보장되는지에 대해선 의문도 나온다.However, it is also questionable whether the independence of these labels is guaranteed. 익명을 요구한 한 관계자는 “레이블의 독립성을 존중한다고 하더라도 말 그대로 ‘레이블’의 개념이기 때문에 완전히 독립될 수 없다”면서 “실제로도 대부분의 사안들은 하이브의 이사회에서 최종적으로 결정이 되는 시스템”이라고 꼬집었다.An official, who asked for anonymity, pointed out, "Even if we respect the independence of labels, we cannot be completely independent because it is literally the concept of 'labels'." "In fact, most cases are finally decided by Hive's board of directors."

SM의 또 다른 팬 B씨는 “기존 하이브의 레이블들과는 달리 SM의 음악적 색깔은 독보적이고, 고유하다.Another SM fan, B, said, "Unlike the existing Hive labels, SM's musical color is unique and unique. 때문에 기존 하이브의 레이블들과는 달리 쉽게 손을 댈 수는 없겠지만, 경영진에 하이브의 고위층 인사들이 들어오고 조금씩 변화가 일어나면서 결론적으론 SM 고유의 색깔을 잃어버릴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Therefore, unlike existing Hive labels, it may not be easy to touch, but as high-ranking Hive figures come into management and change little by littl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M will lose its unique color in conclusion." 또 B씨는 “하이브의 독과점으로 그룹 색깔이 획일화되는 것은 물론 굿즈 등의 가격 상승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In addition, B added,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of a rise in prices such as goods as well as uniformity of the group's color due to the monopoly of Hive."

물론 기업의 경영권 분쟁에 팬덤의 목소리는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Of course, it is true that fandom voices do not exert much influence on corporate management disputes. 하지만 현재의 SM이 있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중심을 지키고 SM을 지지해 온 팬덤의 역할이 크다.However, the biggest reason why the current SM could have existed is that fandom, which has maintained its center and supported SM, plays a large role. 단순히 기업의 경영권 싸움이 아닌, 케이팝 산업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말이다.This mean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pop industry should be considered, not just a battle for corporate management rights. 최소한 팬덤의 우려를 잠재울 수 있는 대처가 필요한 시점이다.At least it is time to take action to quell fandom concerns.
Previous Post Next Post

نموذج الاتصال